즐겨찾기/한결같은교회.예배

주일예배(2024/7/28, 눅21:1-4), '과부의 두 렙돈 헌금'

bygracetistory 2024. 7. 28. 07:22

2024-07-28(D1)-주일예배(2554, 눅21,1-4), '과부의 두 렙돈 헌금'.pdf
0.45MB
축도.2024-07-28(D1)-주일예배(2554, 눅21,1-4), '과부의 두 렙돈 헌금'.pdf
0.23MB

https://youtu.be/Q0iBCab2Z-U

 

과부의 두 렙돈 헌금

 

1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헌금함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2또 어떤 가난한 과부가 두 렙돈 넣는 것을 보시고 3이르시되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눅21:1-4)

 

인애는 자체로 사람의 지위나 기부액에 따라 평가되지 않고 그 일을 하는 애정으로 평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돈을 기부하는 지위가 높은 사람보다 동전 한 잎을 기부하는 비천한 사람의 인애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참된기독교 459:9)

 

※ 오늘부터 누가복음 21장입니다. 총 다섯 편의 설교가 준비되어 있으니 기존 설교 원고들도 계속 가까이하시며, 함께 큰 은혜 받으시기 바랍니다.

 

※ 오늘 본문은 특별히 성서 시대 이스라엘 화폐 단위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류모세 저, ‘열린다 성경, 생활풍습 이야기(하)’(2010)에 나오는 ‘화폐 단위’ 이야기입니다.

 

...복음서에 나오는 화폐 단위가 복잡한 것은, 1세기 당시 이스라엘에서 세 가지 화폐 단위가 모두 통용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첫째, 주전 63년, 로마의 폼페이우스 장군에 의해 이스라엘이 로마 제국에 편입되면서 제국의 공식 화폐인 로마 화폐가 사용되었다. 둘째, 로마 제국 이전부터 사용되던 헬라 화폐도 통용되었다. 셋째, 이방인들의 화폐를 거부하고, 이스라엘 자체의 화폐도 통용되었다.

 

금과 은으로 만든 동전보다 작은 단위의 동전은 구리 동전이었다. 로마의 구리 동전은 앗사리온(assarion)과 콰드란스(quadrans)가 있었다. 4과드란스는 1앗사리온으로, 당시 하루치 품삯인 1데나리온(denarius)은 16앗사리온이었다. 이를 기초로 대략적인 가치를 환산해 보면, 하루 품삯인 1데나리온을 2010년 기준, 대략 5만 원이라고 할 때, 1앗사리온은 3,125원, 1콰드란스는 781원에 해당한다. 헬라의 구리 동전은 렙돈(lepton)으로 2렙돈은 1콰드란스였다. 이것을 기초로 과부가 성전의 연보궤에 넣은 두 렙돈, 즉 1고드란트(콰드란스)는 1,000원도 안 되는 적은 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로마의 은 동전인 데나리온과 헬라의 은 동전인 드라크마는 거의 같은 화폐 가치를 가졌다. 시장에서 값을 지불할 때는 두 개의 은 동전이 같았지만, 로마 제국에 세금을 납부할 때는 1드라크마가 4분의 3데나리온에 해당했다. 납세를 위해서는 제국 내의 공식 화폐인 데나리온에 비해 헬라 화폐인 드라크마가 25퍼센트 할인된 가격에 거래된 것이다. 데나리온과 드라크마는 노동자의 하루 품삯에 해당하는 돈이었다.

 

로마와 헬라의 동전과는 별도로 이스라엘은 ‘셰켈’(Shekel, 성경에는 ‘세겔’로 나옴)로 불리는 자체적인 동전이 있었다. 세겔은 일반 세겔과 성전세 납부에 사용하는 특수 세겔이 있었다. 특수 세겔은 두로(Tyre, 지금의 레바논에 있는 도시)에서 주조했기 때문에, ‘두로 세겔’로도 불렸다. 일반 세겔은 2데나리온의 가치가 있었고, 두로 세겔은 4데나리온의 가치가 있었다.

 

※ 다음은 ‘연보궤’ 관련, 배경지식입니다. ‘열린다 성경, 성전’ 인용입니다.

 

성전 안 여인의 뜰 주변을 따라 3면의 벽에는 13개의 연보궤(헌금함)가 있었다. 각각의 연보궤는 유대인의 신년인 나팔절 때 부는 양각(숫양의 뿔) 나팔처럼 돈을 넣는 입구는 좁고, 밑바닥은 넓었다. 이는 연보궤에 손을 넣어 헌금을 훔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예수님은 헌금과 구제를 하고 나서 ‘나팔을 불지 말라’는 독특한 표현을 하셨는데, 이는 여인의 뜰에 있는 연보궤의 모양에서 나온 재미있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구제할 때에 외식하는 자가 사람에게서 영광을 받으려고 회당과 거리에서 하는 것 같이 너희 앞에 나팔을 불지 말라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들은 자기 상을 이미 받았느니라 (마6:2)

 

13개의 연보궤는 각각 용도가 달랐고, 그 용도는 연보궤에 새겨져 있었다. 이 중 1, 2번 연보궤에는 성전에 바치는 반 세겔의 성전세를 넣었다. 3, 4번의 연보궤에는 번제와 속죄제로 비둘기를 바치는 여인들이 그에 상당하는 돈을 넣었다. 첫 아들인 예수를 낳은 마리아도 성전을 찾아 초태생을 위한 속죄제로 비둘기값을 이곳에 넣었을 것이다.

 

22모세의 법대로 정결 예식의 날이 차매 아기를 데리고 예루살렘에 올라가니 23이는 주의 율법에 쓴 바 첫 태에 처음 난 남자마다 주의 거룩한 자라 하리라 한 대로 아기를 주께 드리고 24또 주의 율법에 말씀하신 대로 산비둘기 한 쌍이나 혹은 어린 집비둘기 둘로 제사하려 함이더라 (눅2:22-24)

 

연보궤 5번에는 제단에서 사용되는 목재, 6번에는 분향단의 향, 7번에는 성전에서 사용되는 금잔, 8번에는 남자의 속죄제, 9번에는 속건제, 10번에는 비둘기, 11번에는 나실인 서원, 12번에는 나병환자의 치유, 13번에는 기타 자원 헌금과 관련된 헌금을 넣었다.

 

13개의 연보궤 외에 ‘은밀한 방’(Silence Chamber)으로 불리는 특별한 공간이 있었다. 이곳은 가난해서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특별 헌금을 내는 곳이었다. 경건한 사람들은 이스라엘의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비밀리에 헌금을 하곤 했다. 과부의 두 렙돈은 아마 이곳에서 은밀하게 드려졌을 것이고, 부자들은 바깥에 있는 나팔 모양의 연보궤에 위풍당당하게 헌금을 넣으며, 힘차게 나팔을 불었을 것이다.

 

//

 

이상의 설명으로, 오늘 본문의 과부가 헌금한 두 렙돈이라는 돈은 2010년 기준, 1,000원도 안 되는 금액이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 2024년도 시급 9,860원으로 계산하니 1,230원 정도 나오는군요.

 

그런데도 주님께서는 과부의 헌금을 가리켜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다 하셨습니다. 주님이 그렇게 말씀하신 까닭은 부자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넣었지만,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기 때문입니다. 과부는 당장 끼니를 걸러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런데도 주님께서는 그를 말리지 않으시고 오히려 지켜보신 후, 칭찬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이 과부처럼 목숨을 걸고(?) 신앙생활을 해야 할까요? 오늘은 그것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겠습니다.

 

영적 의미로 과부는 선은 있는데 진리가 없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런데 이 말은 사실 논리에 맞지 않는 말입니다. 진리가 없으면 선도 없기 때문입니다. 선과 진리의 관계는 열차의 목적지와 궤도와 같아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입니다. 그러니까 열차가 궤도를 벗어나면 목적지에 제대로 도착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과 진리는 언제나 함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과부의 정확한 의미는 진리에 대한 애정은 있는데 아직 진리가 없는 사람을 뜻합니다. 왜냐하면 진리가 있기 전의 선은 선이라기보다는 진리에 대한 애정 같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의 과부가 진리에 대한 애정만 있고 진리가 없는 사람이라면, 부자는 어떤 사람일까요? 말씀에 관한 지식을 많이 가진 사람을 뜻합니다. 부자도 여러 종류의 부자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부자와 거지 나사로의 비유에 나오는 부자가 있습니다. 그는 말씀을 이용해 재물과 명예를 얻고, 그것을 즐기는 사람입니다. 주님은 그런 사람들을 과부의 재산을 빼앗는 강도라고 하셨습니다. 왜냐하면 말씀을 조작, 거짓 교리를 만들고, 그것으로 교인들을 세뇌, 조금 남아있는 진리마저 빼앗아 버리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마태복음 19장, 주님을 찾아와 ‘선생님이여 내가 무슨 선한 일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라며 영생에 대해 여쭙는 청년과 같은 부자도 있습니다. 그는 말씀에 대해 많이 알고 있으나 다른 사람처럼 문자적인 의미에 머물지 않고, 내적 진리에 가까이 가길 원하는 사람이었는데요, 그것은 그가 ‘살인하지 말라, 간음하지 말라, 도둑질하지 말라, 거짓 증언 하지 말라, 네 부모를 공경하라,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신 것이니라’ 하시는 주님의 대답에, ‘이 모든 것을 내가 지키었사온대 아직도 무엇이 부족하니이까’ 주님께 되묻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 말을 들으시고 주님께서 ‘네가 온전하고자 할진대 가서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그리하면 하늘에서 보화가 네게 있으리라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 하십니다. 여기서 ‘네 소유’는 부자 청년이 가지고 있는 말씀의 문자적인 지식을 뜻합니다. 청년은 자신이 노력해 얻은 말씀의 문자적인 지식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하십니다. 이 말씀은 성경의 문자적 의미는 내적 진리를 담는 그릇에 불과하니 내적 진리를 얻기 위한 것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는 소유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주님은 그렇게 할 때 하늘에서 보화가 있을 것이라고 하십니다. 하늘에서 내려오는 보화란 어떤 것입니까?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통해 주님으로부터 오는 내적인 깨달음을 뜻합니다. 주님은 청년에게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고 하십니다. ‘나를 따르라’는 것은 그동안 삶 가운데 허용했던 자아의 악을 멀리하고, 이제는 주님이 이끄시는 대로 따르라는 것입니다. 자아로부터 오는 여러 종류의 악들이 있는데요, 그걸 계속 허용하면 언제까지나 자아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습니다. 지식적으로 말씀에 접근하는 사람 중에는 말씀의 규범을 잘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자아의 악들 가운데는 말씀의 문자적 의미로 보면 죄가 아닌 것 같은데 내적으로는 죄악인 것이 많습니다. 주님께서는 그러한 악들을 멀리하고 당신을 따르라고 하십니다. 그 말씀을 듣고 청년이 재물이 많으므로 근심하며 갔다고 합니다. 지식이 많은 사람일수록 주님의 말씀에 순진하게 따르기가 어렵습니다. 인간의 생각으로 이런저런 계산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자 청년은 근심하며 주님으로부터 멀어졌습니다.

 

이 부자 청년에게 하셨듯 주님이 과부에게도 똑같이 말씀하신다면 그녀는 어떻게 행동할까요? 그와 관련해 열왕기상 17장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5그가 여호와의 말씀과 같이 하여 곧 가서 요단 앞 그릿 시냇가에 머물매 6까마귀들이 아침에도 떡과 고기를, 저녁에도 떡과 고기를 가져왔고 그가 시냇물을 마셨으나 7땅에 비가 내리지 아니하므로 얼마 후에 그 시내가 마르니라 8여호와의 말씀이 엘리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9너는 일어나 시돈에 속한 사르밧으로 가서 거기 머물라 내가 그곳 과부에게 명령하여 네게 음식을 주게 하였느니라 10그가 일어나 사르밧으로 가서 성문에 이를 때에 한 과부가 그곳에서 나뭇가지를 줍는지라 이에 불러 이르되 청하건대 그릇에 물을 조금 가져다가 내가 마시게 하라 11그가 가지러 갈 때에 엘리야가 그를 불러 이르되 청하건대 네 손의 떡 한 조각을 내게로 가져오라 12그가 이르되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나는 떡이 없고 다만 통에 가루 한 움큼과 병에 기름 조금뿐이라 내가 나뭇가지 둘을 주워다가 나와 내 아들을 위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고 그 후에는 죽으리라 13엘리야가 그에게 이르되 두려워하지 말고 가서 네 말대로 하려니와 먼저 그것으로 나를 위하여 작은 떡 한 개를 만들어 내게로 가져오고 그 후에 너와 네 아들을 위하여 만들라 14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나 여호와가 비를 지면에 내리는 날까지 그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그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15그가 가서 엘리야의 말대로 하였더니 그와 엘리야와 그의 식구가 여러 날 먹었으나 16여호와께서 엘리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같이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니라 (왕상17:5-16)

 

이 본문은 아합왕 때 여러 해 동안 비가 오지 않아 기근이 들었던, 그래서 참 절박하고 비참한 그런 상황입니다.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나는 떡이 없고 다만 통에 가루 한 움큼과 병에 기름 조금뿐이라 내가 나뭇가지 둘을 주워다가 나와 내 아들을 위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고 그 후에는 죽으리라’는 과부의 대답을 보면 말이지요. 이 말을 듣고 엘리야가 이렇게 말합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가서 네 말대로 하려니와 먼저 그것으로 나를 위하여 작은 떡 한 개를 만들어 내게로 가져오고 그 후에 너와 네 아들을 위하여 만들라 14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나 여호와가 비를 지면에 내리는 날까지 그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그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엘리야의 말을 들은 과부는 어떻게 하나요? 부자 청년처럼 근심하며 엘리야를 떠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다음은 과부의 순종과 그 순종의 결과입니다. ‘그가 가서 엘리야의 말대로 하였더니 그와 엘리야와 그의 식구가 여러 날 먹었으나 16여호와께서 엘리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같이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니라’

 

이 말씀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이스라엘 땅에 비가 오지 않는 것은 교회 안에 진리가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때 엘리야가 사르밧의 과부에게 가서 거기 머무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의 진리가 이방인의 과부, 즉 진리를 갈구하는 교회 밖의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그 이유는 교회 안에는 진정한 진리를 원하는 자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과부가 떡을 만들어 엘리야에게 바치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자아의 생각보다 말씀의 진리를 더 사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할 때 과부의 집에 통의 가루와 병의 기름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그때 주님으로부터 신앙의 진리와 인애, 체어리티의 선이 끊임없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해 ‘참된 기독교’ 459번 글 9항은 이렇게 말합니다. ‘인애는 자체로 사람의 지위나 기부액에 따라 평가되지 않고, 그 일을 하는 애정으로 평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돈을 기부하는, 지위가 높은 사람보다 동전 한 잎을 기부하는, 비천한 사람의 인애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이 말씀을 통해 주님께서 자기 생활비 전부를 헌금함에 넣는 과부를 왜 더 칭찬하셨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오늘날 교회의 상태가 아합왕의 시대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교회가 말씀을 마음대로 왜곡, 믿음만의 교리, ‘오직 믿음’의 교리를 만든 이후부터 교회에 더 이상 진리의 비가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

 

※ 새 교회 분들은 기존 기독교, 특히 개신교 교리를 언급할 때 좀 극단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교회가 그렇게 황폐해질 때, 주님으로부터 참된 말씀을 받는 사람은 누굴까요? 말씀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자부하는 교회의 높은 사람들일까요? 아니면 한편으로는 진리를 배운다고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세상과 적당히 타협하는 부자들일까요? 진리이신 주님은 그런 사람들에게는 오시지 않습니다. 혼자 먹기에도 부족한 가루와 기름으로 말씀을 따라 떡을 만들어 먼저 선지자에게 드리는 과부와 같은 사람, 자신보다 주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주님은 오셔서 그들의 단단한 마음을 여시고, 그 속으로 신앙의 진리와 체어리티의 선을 넣어주십니다. 그리고 그때 비로소 우리는 어둠에서 일어나 빛을 볼 수 있고, 빛이 이끄는 대로 이전의 악을 끊고, 이웃을 사랑하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 각자가 생명처럼 사랑하는 세상의 것들이 있습니다. 떨쳐버리려 해도 도저히 떨어지지 않는 자아의 악이 있습니다. 그것들이 마음 깊은 곳에서 소리 지를 때, 사르밧 과부처럼 가지고 있는 모든 진리와 사랑을 동원해 그것을 제지하고, 오직 주님이 말씀하시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항상 나는 침묵, 오직 주님이 말씀하실 때, 우리 안에 신앙의 빛과 열기가 끊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서울 새 교회와 대전 한결같은 교회의 모든 성도와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형제, 자매에게 영원히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눅21:4)

 

아멘

 

 

2022-08-07(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7-28(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